최근 탄핵 정국에서 송년회가 취소되고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는 등 내수가 더 어려워졌다는 얘기가 많습니다.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기 이전에 이미 차가웠던 우리 경제 상황을 생각하면 걱정이 더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. 서울의 대표적인 번화가조차 상가 공실률이 두 자릿수로 치솟으며 불황의 그림자가 짙어진 모습입니다. 황현규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. [리포트] 붐비는 도심의 상징이었던 서울 강남역과 신논현역 사이, 강남대로입니다. 멀티플렉스 극장은 간판을 내렸고 프랜차이즈 카페도 폐업했습니다. [이민주/서울 노원구 : "예전에는 강남에 오면 동네에는 없는 큰 브랜드 술집 같은 것도 있고 해서 좀 더 강남에서 모이는 경향이 있었던 것 같은데 요즘에는 사실 상권도 많이 죽고…."] 또 다른 카페가 문 닫은 이 자리는 반년 넘게 공실입니다. [강OO/인근 직장인 : "적자가 심해서 임대료가 너무 비싸서 도저히 버틸 수 없어서 나갔다고 얘기를 들었고."] 대형 프랜차이즈조차 영업을 중단하며 강남역 인근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10%를 넘었습니다. 논현역과 신사역, 청담역 등 강남의 다른 지역 공실률도 상승해 두 자릿수를 기록했습니다. 번화가, 대형 매장들마저 버티지 못하는 내수 부진의 무게는 고스란히 유동 인구에 기대 영업하던 자영업자들에게 옮겨 갔습니다. [한상기/곱창집 운영 : "(주위) 가게가 8개였었어요. 다 죽고 지금 2개만 남았어요. 큰 가게가 없어지면서, 우리 같은 소규모 상권이 죽죠."] 정치적 불안이 닥치기 이전에도 경제에는 이미 불황의 그림자가 짙다는 하소연이 곳곳에서 나옵니다. [안광모/고깃집 운영 : "제가 예전에 IMF(외환위기)를 겪었는데, 그런 분위기가 나요. 최근에 한 6개월여 전부터 심해서 이게 왜 나만 그런가 했더니 매스컴에서 나오는 게 다들 어렵다, 힘들다."] 위기의 자영업자는 물론, 청년 고용을 늘리는 등 내수 전반을 감싸는 대책이 절실하지만 국정은 거의 마비 상태입니다. 여야정 비상경제점검회의, 내년 초 추경 예산 편성 같은 대책도 하루를 버티기 어려운 이들에겐 위로가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.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. ▣ KBS 기사 원문보기 : http://news.kbs.co.kr/news/view.do?ncd=8127694 ▣ 제보 하기 ◇ 카카오톡 : 'KBS제보' 검색 ◇ 전화 : 02-781-1234 ◇ 홈페이지 : https://goo.gl/4bWbkG ◇ 이메일 : kbs1234@kbs.co.kr Copyright ⓒ KBS. All rights reserved. 무단 전재, 재배포 및 이용(AI 학습 포함) 금지 #탄핵 #강남 #IMF

KBSKBS NEWSKBS 뉴스7KBS뉴스NEWSformat:리포트genre:경제location:경제부person:황현규series:뉴스 7source:영상topic:윤 대통령 탄핵안 표결 무산…정국 격랑type:방송뉴스뉴스7